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청비
- fifa약자
- 중국 드라마 추천
- 신토불이뜻
- 중국어 교과서
- 폭싹속았수다시
- 실용 중국어
- 제주오애순
- 오애순
- eu풀네임
- 실용중국어
- 중국어 연습
- 중국
- 중국어 회화
- 유퀴즈김혜자
- 오애순시
- 소지말박
- 폭싹속았수다제주
- 중국어 번역
- un약자
- fifa풀네임
- nasa풀네임
- nasa약자
- un풀네임
- 중국어 교본
- 중국 드라마
- 중국어
- 신조어
- 중국어 사전
- 넷플릭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56)
희귀동식물에 알아보는 건에 대하여

제주천만번 파도, 천만번 바람에도 남아있는 돌하나 내 가심 바당에 삭지 않는 돌하나 엄마폭싹 속았수다에 애순이의 시입니다.시가 좋아서 그냥 넘어가기 그래서 간단하게 남아 켈리그라피로 표현해봤습니다.

ㅊㅅㄹ 있으면 귀찮고 없으면 궁금하고 내가 뭐라면 괜찮고 남이 뭐라면 화나고 눈 뜨면 안 보는 척눈 감으면 아삼삼 만날 보는 바당 같아 몰랐다가도 안 보이면 천지에 나 혼자 같은 것 입안에 몰래 둔 알사탕처럼 천지에 단물이 들어가는 것 그게 그건가 그게 그건가 그래서 내 맘이 만날 봄인가 오애순드라마를 보다가 그저 대사로 흘려듣기에는 너무 아쉬워 다시 한번 써봤습니다.아삼삼이란 "아슴푸레"의 방언으로 아슴푸레는 빛이 약하거나 멀어서 조금 어둑하고 희미한 모양을 뜻합니다. 드라마를 보면서 삶에 행복에 필요한 것은 돈인가 사랑하는 마음인가 곰곰이 생각하게 되는 드라마였습니다.

폭싹 속았수다 속 제주 방언 총정리남녀노소 누구나 눈물을 흘리게 하는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는 단순한 로맨스물이 아닙니다. 1950년대 제주도의 삶을 그린 이 작품은 제주 방언을 진하게 녹여내며 그 자체로 한 편의 언어 다큐멘터리 같다는 평도 받고 있습니다.한가지 아쉬운 점은 한국인인 저희도 제주도 방언을 완전히 알아 듣지 못해서 가끔 이해하지 못하는데 해석이 없어서 그냥 듣고 흘러 넘어가는 단어나 문장이 많았다는 점입니다.그래서 오늘은 《폭싹 속았수다》 속에 등장한 제주 방언 8가지를 뽑아 표준어 뜻과 함께 정리해봤습니다. 제주 사람들의 정서와 감성을 느껴보며 드라마를 더 깊이 있게 즐겨보세요. 1. 폭싹 속았수다 뜻: 정말 고생 많았어요 / 진이 다 빠졌어요 풀이: 보통 속았수다라는 늙었다, 속았다..

무협 소설 속에서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이름, 청반오공(靑斑蜈蚣).악명 높은 독고수의 암기나, 사파 고수의 애완 괴충으로 자주 등장하죠. 하지만 과연 청반오공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기원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자 풀이부터 시작해, 청반오공의 정체와 무협 세계 속 활용, 그리고 그 상징성까지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저 청반오공이라는 단어의 핵심인"오공(蜈蚣)"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볼게요. 한자蜈 지네 오蚣 지네 공👉 즉, ‘오공(蜈蚣)’은 지네를 뜻하는 고유 한자 표현이에요. ‘蜈(오)’와 ‘蚣(공)’ 모두 곤충을 나타내는 벌레 주(虫) 변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조합해 ‘다리가 많은 벌레’, 즉 지네라는 의미를 만들죠. 🐛 오공 = 지네 오늘날 우리가 "..

우리는 종종 현실에서 볼 수 없는 상상 속 동물들에 매료되곤 합니다. 세계 각국의 신화, 전설, 민속 이야기 속에는 독특한 모습과 특별한 능력을 지닌 전설의 동물들이 존재하는데요. 이들은 각 문화의 가치관과 상상력을 반영하며 오늘날까지도 영화, 게임, 문학 등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계 전설의 동물 TOP10을 소개합니다. 여러분의 상상력을 자극할 신비한 생물들을 함께 만나보세요.1. 🐉 드래곤 (Dragon)드래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널리 알려진 전설 속 생물입니다. 서양 드래곤: 날개와 뿔이 있으며 불을 내뿜고, 보물을 지키는 괴물로 등장합니다. 동양 드래곤(용): 비늘이 있고 날개 없이도 하늘을 나는 신성한 존재로, 비와 풍요를 관장하는 신적 존재입니다. ✅ 상징: 권력, 힘..